전체 글

전체 글

    두 망나니의 여행 이야기: 잭 케루악 <길 위에서>를 읽고

    * 드디어, 잭 케루악 를 읽었다. 이것이 '드디어'인 이유는, '드디어' 3주 만에 1, 2권을 다 읽고 지금 이 글을 쓴다는 사실과 더불어, 이번에 중고 서점에서 를 사 오기 훨씬 전부터 책의 제목을 좋아하여, 언젠가 꼭 읽어야겠다고 다짐까지 하고 있던 참이었기 때문이다. 내가 를 읽어보고자 했던건, 책 속의 주인공 샐이 말하듯 '길은 곧 삶이니까.'라는 지극히 평범한 문장과 연관이 있기도 하고, 삶이 어느 목적지에 도달하지 않아도 된다는, 굳이 따지자면 매 순간의 길이 곧 목적지라는, 평소 생각을 대변하는 적절한 문구였기 때문이다. 불꽃치듯 요동치는 그들의 심장 소리와 열정, 그것을 표현하는 잭 케루악의 때로는 길고도 지루한, 잡담들이 가득찬 아주 긴 문단들이 이 책에 널브러져있다. 책을 읽기 전까..


    좋은 건축, 좋은 공간에 대한 고찰: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현준

    여행을 하다 보면 '이곳에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던 도시들이 있었다. 그러한 도시들에는 한결같이 사람과 건축물이 어우러진 공간이 있었다. 도시의 특성상 자연과도 완벽히 어우러진 도시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그러한 역할을 하는 공원과 강,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침마다 햇볕이 내리쬐는 곳이 있었다. 그럴 때면, 그곳에 사는 이들이 참 축복 받았다 생각하며 그저, 부러워 하곤 했었다. 건축물과 공간, 그리고 아파트 하나의 건축물은 벽을 쌓고 구분을 통해 단절된 공간을 만들어 낸다. 한국의 건축물=아파트를 볼까. 한국형 아파트는 가장 적은 비용으로 가장 많은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건축물이며, 프라이빗한 공간을 창출한다. 이러한 프라이빗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문제는 이것이 '프라이빗 할 수 밖에 없다'는..


    반려 관계에 대하여 : 김애란 <노찬성과 에반>을 읽고

    반려 동물을 키워본 적이 없다. 어렸을 때는 개가 키우고 싶었고, 조금 자라서는 고양이가 키우고 싶었지만 실제로 키워본 적은 없다.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살 때는 부모님의 반대 때문이었고, 그러다 혼자 나와서 살게 되었는데도 개나 고양이를 키우지 못한 이유는 며칠이고 집을 비우는 일이 흔했기 때문이었다. 소설 속 찬성도 처음부터 개를 키울 생각은 없었다. 어쩌다보니 고속도로 휴게소에 버려져 있는 거 같은 개에게 얼음 한 조각을 주게 되었고, 그게 계기가 되어 함께 살게 되었다. 찬성이 데려온 개, 에반은 이미 많이 늙어 있었다. 하루하루 쇠약해져 가는 기력 때문에 동물 병원에 찾았다가 암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가난한 찬성은 치료비를 댈 수 없었고, 고통을 덜어주고 싶은 마음에 '안락사'를 택해..


    <풍경의 쓸모> 김애란: 새로운 바깥과 안을 발견하는 일

    오랜만에 서점에 들러 김애란의 책을 두 권 샀다. 과 을 샀는데, 책을 펼쳐보기 전까지는 단편 모음집이 아니라 장편 소설인 줄만 알았다. 사실 은 정말이지 첫 부분에 실린 단편 을 읽을 때까지만 해도 장편 소설인 줄 알았다. 그래서 문장들을 꼼꼼하게 읽지 않고 슥슥 넘겨가며 읽었는데, 별안간 소설이 끝나버려 다시 되돌아 가 문장들을 읽기도 했다. 을 읽고서 를 읽었다. 단편의 장점이라면 한 번 앉거나 누운 자리에서 작품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전에 김금희 을 읽고서 한 소설가가 '어떻게 이런 소설을 쓰나'라고 평했었는데, 김애란의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동일한 생각이 들었다. * 버스는 '도시가 아니면서 도시가 아닌 것도 아닌' 공간을 한참 가로질렀다. 미분양 아파트와 아웃렛, 비닐하우스와 공장, 공..


    사진 작가 작업 스타일 구축하기: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는 방법

    사진 작가를 꿈꾸며 공부를 하다보면, 결국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으라는 문장으로 귀결되곤 한다. 자신만의 목소리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 것일까? 몇 가지 아티클 중 하나를 번역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다음 글은 허핑턴포스트에 실린 Kate Densmore의 글을 번역한 것이다. 1. 이유를 이해하기 사진에서 목소리를 이야기할 때면 많은 이야기들이 오가곤 하지만, 케이트는 사진에서 목소리란 자신만의 비전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세상을 보는 보는 방식이라 말한다. 편집이나 장르 이전에 대상을 어떻게 바라보며 이를 사진적으로 표현하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만의 목소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상황과 피사체 앞에서 카메라를 꺼내드는 "이유"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의 이목을 끄는 주제나 반복적인 구조적 ..


    석모도 여행, 함께 바다를 보다 ⏐ 여행 에세이

    석모도 여행, 함께 바다를 보다⏐ 여행 에세이 이번 여행도 그와 떠났다. 우린 오래된 여행 친구다. 대학생 때 만났으니 햇수로는 벌써 8년 째다. 그는 나보다 3살이 어리지만 나는 그를 동생이라 생각한 적이 많지 않다. 그는 여전히 존댓말을 쓰지만, 그리고 그 사실을 이 글을 쓰면서 문득 다시 알게 되었지만, 나는 우리가 좋은 친구 사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항상. 첫 여행이 어디였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도 경주였던 거 같다. 대학생 때는 도보 여행도 하고 자전거 여행도 하고 했는데 요새는 차를 타고 여행하는 일이 많아진 거 같다. 서울에서 바다를 보러 단숨에 달려갈 수 있으니 (물론 네비를 잘 못 봐서 자주 헤매지만) 좋기도 하지만, 어딘가 아쉽기도 하다. 석모도에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그가..


    문학은 과연 끝났는가 그렇다면 왜 써야 하는가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사사키 아타루

    20세기 최대의 철학자였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호 속에서 를 썼다. 그는 이 책에서 철학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모든 철학의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방대한 유산도 내던지고 초등학교 교사를 하거나 가정 교사를 하며 살아갔다. 철학에서 완전히 연을 끊은 것이다.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철학은 끝나지 않았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라고 깨닫고 16년의 공백을 깨고 나이 마흔에 철학에 복귀한다. 최근에는 문학이 끝났다, 예술이 끝났다고 소동을 벌이며 문학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은 거 같다. 문학 따위는 결국 경제 과정에 좌우되는 것일 수밖에 없다, 문학보다는 오히려 공학이다, 과학이다, 라고 말하며 문예비평이나 소설을 써서 일당을 벌려는 작자들이 있다. 이들 대..


    존 윌리엄스 <스토너>를 읽고: 평범한 삶의 울림

    존 윌리엄스 를 읽고: 평범한 삶의 울림 대학에서 영문학 교수로 살아가다 죽음을 맞닥뜨린 스토너는 자신에게 거듭 되묻는다. 농부의 자식으로 태어나 문학 수업을 들으며, 평생을 교육자로 살아간 스토너. 젊었을 때, 스토너는 이디스라는 아름다운 눈동자를 가진 이와 결혼을 하고, 그레이스라는 딸을 낳기도 한다. 그러나 연구와 교육에 몰두할 수 있는 스토너와 다르게 별다른 일이 없는 이디스의 서로 다른 일상의 깊이는 서로를 향한 열정을 이내 사그라들 했고, 부부 사이의 어색한 침묵을 속에서 딸 그레이스 또한 말 없는 어른으로 커 나간다. 스토너는 세미나를 통해 캐서린을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용납될 수 없는 연애는 머잖아 막을 내린다. 스토너는 생각이 깊고, 배려심이 강했다. 농부의 자식이었지만, 두 팔을 걷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