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에르노 ‹진정한 장소›
·
책/책 읽고 쓰기
소위 실용서라 하는 책들을 많이 읽고 있는 요즘, 아니 에르노의 인터뷰를 읽는 경험은 과연 쓸모란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안타깝게도 문학은 많은 것들을 외면한다. 문학은 한 개인의 주관성을 사회적 보편성으로 확장해 시대에 정치적 목소리를 형성해내지만(최소한 이를 인식하는 독자에게는), 많은 목소리가 그러하듯 그것은 발설되는 순간 응집되지 못하면 금세 흩어지고 많은 하나의 메시지일 뿐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이러한 목소리를 계속해서 읽고 또 기억하려 하는 것은 흩어졌다고 해서 그 목소리가 영원히 사라진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문학은 결코 밥벌이와 사랑하며 살아가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당장에 해결해 주지는 못하지만, 우리가 중대한 선택을 해야 할 때 그러니까 나 또는 누군가를 위한 인생의 선..
문학은 과연 끝났는가 그렇다면 왜 써야 하는가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사사키 아타루
·
책/책 읽고 쓰기
20세기 최대의 철학자였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호 속에서 를 썼다. 그는 이 책에서 철학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모든 철학의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방대한 유산도 내던지고 초등학교 교사를 하거나 가정 교사를 하며 살아갔다. 철학에서 완전히 연을 끊은 것이다.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철학은 끝나지 않았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라고 깨닫고 16년의 공백을 깨고 나이 마흔에 철학에 복귀한다. 최근에는 문학이 끝났다, 예술이 끝났다고 소동을 벌이며 문학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은 거 같다. 문학 따위는 결국 경제 과정에 좌우되는 것일 수밖에 없다, 문학보다는 오히려 공학이다, 과학이다, 라고 말하며 문예비평이나 소설을 써서 일당을 벌려는 작자들이 있다. 이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