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힘의 한 형태다. 하지만 그보다 강력한 것은 돈에 관한 지식이다. 돈은 있다가도 없는 것이지만, 돈의 작용 원리에 관한 지식만 있으면 돈을 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를 쌓을 수 있다. 긍정적인 사고만으로는 충분치가 않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학교에서 돈의 작용 원리에 대해 전혀 배우지 못하고, 그래서 평생을 돈을 위해 일하는 데 바치기 때문이다.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돈은 힘의 한 형태'라는 그의 말은 자본주의 사회를 관통하는 말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는 '그보다 강력한 것은 돈에 관한 지식'이라 말한다. 그러면서 '돈의 작용 원리'에 대한 지식만 있으면, 부를 쌓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돈의 작용 원리'란 무엇일까? 먼저, 그가 돈에 대해 말하는 7가지 교훈(?)을 살펴보자.
-
교훈 1 부자들은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가난한 자들과 중산층은 돈을 위해 일한다. 부자들은 돈이 그들을 위해 일하게 만든다.
-
교훈 2 왜 금융 지식을 배워야 하는가 얼마나 버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얼마나 모을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
교훈 3 부자들은 자신을 위해 사업을 한다 부자들은 자산에 초점을 맞춘다. 부자가 아닌 이들은 수입에 초점을 맞춘다.
-
교훈 4 부자들의 가장 큰 비밀, 세금과 기업 부자 아버지는 영리하게 투자했다. 기업을 통해서 말이다. 그것이 바로 부자들의 가장 큰 비밀이다.
-
교훈 5 부자들은 돈을 만든다 현실 세계에서 앞서 나가는 사람은 대개 똑똑한 사람이 아니라 용감한 사람이다.
-
교훈 6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교훈을 얻기 위해 일하라 교육을 많이 받은 아버지에게는 직업의 안정성이 모든 것을 의미했다. 부자 아버지에게는 배움이 모든 것을 의미했다.
-
교훈 7 부자로 가는 길을 가로막는 장애물은 무엇인가? 부자와 가난한 자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이다.
구구절절한 교훈들을 읽었는지는 모르겠다. 어쨌거나 다소 복잡해 보이는 이 교훈(?)들을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돈의 작용 원리'는 두려워하지 말고(리스크를 감수하고), 자본주의의 핵심이 되는 자본을 계속해서 확보하는 것이다. 즉,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핵심 자본을 확보하고, 다른 이들의 직간접적인 시간과 노동을 통해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여기서 자본주의의 핵심이 드러난다. 소수가 확보하는 중요 자본은 한정되어 있기에,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모두가 부자가 될 수 없다는 점, 자본이 자본을 번다는 점, 그렇기에 피라미드 구조 상 하부조직은 상부조직에게 시간과 노동을 계속해서 받쳐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로버트 기요사키의 말을 되짚어 보면, 모든 부는 어떤 식으로는 그 부를 창출하는 이들에게 빚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자는 혼자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무한한 성장과 팽창을 추구하는 자본주의는 지난 10여년 전 '금융 위기'라는 이름으로 크게 휘청였고, 이제 우리는 언제라도 그런 위기가 재발할 수 있음을 안다. 물론, 어느 시스템에나 장점과 단점이 있기 마련이고, 자본주의 또한 그렇다. 중요한 것은 장점과 단점 사이의 균형이 얼마나 잘 유지되느냐다. 균형은 존속의 조건이다.
사회학 책도 아닌 '부자 되는 법'에 대한 책을 읽으며 새삼스레 '노동의 성스러움'이나, '분배의 정의'를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팽창하는 시스템이 한계점에 다다른 상황에서는, 시스템을 정비하고 되돌아보는 일이 오히려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주된 움직임은 정부와 제도권 영역에서 이뤄지겠지만, 이와 더불어 단지 '부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시스템을 성찰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를 존식시킬 수 있는 지식과 윤리, 도덕 등은 자본주의의 핵심 작동 원리 바깥에 있다.
(+ 다음은 책을 읽었던 리디셀렉트에 달린 댓글들)
'책 > 책 읽고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너 마리아 릴케 ⏐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고 (0) | 2019.12.09 |
---|---|
아마추어 작가를 위한 세계적인 작가들의 명언 모음 (0) | 2019.11.26 |
어떻게 하면 좋은 스토리를 만들 수 있을까? (0) | 2019.11.26 |